Search Form
search

Technology

참고 자료

체외충격파 치료

통증 완화

· 긴장된 근육과 근육 주변 인대에 에너지를 전달해 결절된 근육을 풀어줍니다.

· 충격 에너지를 통증 부위에 집중시킴으로써 환자의 통증 유발 인자를 확산시켜 환부의 통증을 줄여줍니다.

· 통점에 직접 자극을 주기 때문에 이물질 파괴 뿐 아니라 아픈 부위의 혈관 재형성을 돕고 조직과 뼈를 활성화시켜 통증 감소와 기능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테니스엘보, 족저근막염, 석회화건염 등의 관절, 인대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체외충격파 치료의 장점

다운 타임 없음

피부 손상, 부작용 없음

요요 현상 없음

비접촉, 비침습 방식으로 위생적인 시술 가능​

충격파의 역사

1950년대

2차 세계 대전 중 외부 충격 없이 수중 폭발 이후 군인들의 폐가 간접적으로
손상된 것을 발견한 후 충격파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1980년대

여러 실험 및 임상들의 협업을 바탕으로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신장 결석 파쇄 아이디어가 나오게 되었고,
1980년대에 체외충격파 파쇄술 치료법으로 자리잡았다.

1993년

결석 파쇄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골 형성이 관찰되면서
충격파가 근골격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체외충격파 치료로 관절의 통증이 완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후 체외충격파 치료를 적용하는 응용법들이 발전하게 되면서
1993년 석회화건염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의 유용성을 처음으로 보고했다.

1997년

족저근막염, 외측상과염 등 다른 건변증에도 60~80% 정도의 치료 성공률을 보이면서
1997년 유럽 충격파 치료 학회가 설립되었다.

1999년

여러 국가의 의사들이 합류하게 되면서 1999년 국제 충격파 치료 학회라는 국제 학회로 발전되었고
충격파에 관 한 기초적 임상적 지견이 공유되면서 정형외과 영역의 근골격계 치료 적응증을 점점 확장하게 되었다.